2023_부트캠프회고/코드스테이츠_DevOps_정리
[간단정리]쿠버네티스(k8s)와 컨테이너 오케스트레이션
DEVOPS_HANSU
2023. 5. 18. 13:44
쿠버네티스(Kubernetes, k8s)란
- 오픈소스로 만들어진 컨테이너 오케스트레이션 도구
- 컨테이너화된 애플리케이션을 자동으로 배포, 스케일링하는 등의 관리 기능을 제공
- 각기 다른 환경(온프레미스 서버, VM, 클라우드)에 대응 가능
쿠버네티스 오케스트레이션 도구란
정리 : 수십~수백개의 컨테이너를 관리하고자할 때 사용되는 툴을 의미
예: 다섯개의 마이크로서비스를 운영하는 조직이 사내에 3개의 팀이 존재하고 최소 2개이상의 레플리카(복제본)을 만든다고 가정하면 5*3*2 개의 컨테이너가 존재하게 되므로 쿠버네티스의 도입을 고려해 볼 수 있음.
쿠버네티스 오케스트레이션은 언제 사용하지 말아야할까?
- 여러 Tier(단계)로 나뉘지 않은 모놀리식 아키텍처에서는 적합하지 않습니다.
- 모놀리식 아키텍처는 먼저 마이크로서비스 분해 전략을 세우는 것이 우선입니다.
- 고작 서너 개에 불과한 컨테이너만을 다루려면 적합하지 않습니다.
- 서너 개의 불과한 컨테이너는 docker-compose로도 충분합니다.
- 비교적 단순한 아키텍처에, 스케일링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.
- 이후 트래픽이 증가하거나, 스케일링이 필요한 경우, 서버리스 서비스를 사용하면 다소 저렴한 가격에 관리형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으며, AWS 내에서도 오토 스케일링과 같은 관리형 서비스가 배포 환경에서 제공됩니다.
반대로 언제 사용해야 하는가?
- 마이크로서비스를 컨테이너 방식으로 운영하는 조직이 확장성을 고려해야 할 때
- 무중단 서비스, 즉 고가용성을 제공해야 할 때
- 그 밖에 다양한 기능들: 자가 치유, 배치 실행, 구성 관리, 로드 밸런싱...
쿠버네티스를 어떻게 사용하는가?
- 쿠버네티스를 이용해 온프레미스 상에서 (사설) 클라우드 인프라를 구성하고,
- 저렴한 클라우드 서비스의 일부분을 도입하여 하이브리드 형태로 구성하기도 하며,
- 필요에 따라 쿠버네티스로 구성한 인프라를 통째로 AWS 등에 마이그레이션 합니다. (이식성)
- 주요 퍼블릭 클라우드 공급자들은 관리형 쿠버네티스를 지원합니다. 예) AWS EKS
쿠버네티스 minikube 설치 주소(https://minikube.sigs.k8s.io/docs/start/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