상세 컨텐츠

본문 제목

Chapter 8, 데이터 베이스의 기초(OSI 7 계층 및 TCP/IP 4계층)

본문

 

OSI 7계층이란 , 

네트워크를 이루고 있는 구성요소들을 나누고, 각 계층의 표준을 정한것

7계층에 관련된 내용은 아래에서 다루고 있다.

https://mansu-k.tistory.com/17

 

Chapter4, 웹서비스 개발 기초

클라이언트 - 서버 아키텍처 ( 2티어 아키텍처 ) 리소스를 사용하는 앱 = 클라이언트 리소스를 제공(serve)하는 곳 = 서버 클라이언트는 서버에 원하는 정보는 '요청' 하고 서버는 클라이언트의 요

mansu-k.tistory.com

OSI 7계층의 하는 일

 

TCP/IP 4계층이란,

TCP/IP 프로토콜을 사용하는데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, 위와같은 구분으로 OSI 7계층과 하는 역할을 나눠서 볼 수 있다.

 

  • TCP/IP의 물리계층
    • 실제 장치들을 연결하기 위해 필요한 기계적, 전기적, 물리적 세부사항
    • 기계적 구조와 전기적 특성을 정의함
    • 대표적인 예로 랜선, 허브, 리피터 등이있다
  • TCP/IP의 데이터 링크 계층
    • 신뢰성있는 데이터 전송을 보장하기 위해 두지점 간의 오류제어와 흐름제어를 수행하는 계층
    • 데이터를 전달하는 과정이나 물리계층에서 얻어오는 데이터의 오류를 찾고 수정하는데 필요하는 기능적, 절차적 수단을 제공한다.
    • 두 지점 간 통신은 MAC주소를 사용하여 통신한다.
    • 대표적인 예로 스위치, 브리지 등이 있다
  • TCP/IP의 네트워크 계층
    • 인터넷 상에서 경로를 찾아주는 역할을 하는 계층
    • 라우팅, 흐름 제어, 세그멘테이션, 오류 제어를 수행한다
    • IP, ICMP, OSPF, RIP등의 프로토콜을 사용한다
  • TCP/IP의 전송 계층
    • 사용자들의 신뢰성 있는 데이터를 주고 받기 위해 아래와 같은 절차를 진행한다
      • 전송되는 패킷에 순번 부여
      • 패킷이 전달되도록 전달 제어
      • 전송 실패한 패킷의 재전송
      • 연결의 정상 여부를 점검 하고, 연결 상태를 관리
    • TCP, UDP, SSL, TLS가 이에 포함된다

 

 

관련글 더보기